우리나라 근대사에서 19세기 말엽부터 20세기 전반기 사회는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과 이에 대한 저항 내지 독립운동으로 점철되어 왔다. 이 독립운동의 과정에서 가장 상징적인 인물은 안중근이었다. 그는 1909년 10월26일 하얼빈에서 조선침략의 원흉이었던 이토 히로부미를 제거했다. 그 결과 1910년 3월26일 중국의 뤼순 감옥에서 그는 순국했다. 올해는 그가 순국한 지 꼭 100주년이 되는 해다.

 
안중근은 18세 때에 천주교 세례를 받은 이후 정신적 근대화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종교운동에 투신했다. 그러나 을사조약을 계기로 국권이 침탈되어 가던 상황에서 그는 좀 더 직접적인 민중계몽을 위해 교육운동에 투신했다. 그는 국채보상운동에도 참여하여 자신의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서 안중근은 평안도 지역에서 비폭력적 국권수호운동의 선봉에 서게 되었다.

그러나 그의 활동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1907년 이후 일제에 대한 무장항쟁으로 발전되어 갔다. 그는 간도와 연해주 지역으로 망명하여 의병을 조직해서 직접 국내 진공작전을 전개하기도 했다. 그리고 그는 의병전투의 일환으로 이토 히로부미를 제거했다. 법정투쟁의 과정에서 그는 자신의 거사 이유와 궁극적 지향 등을 선명히 제시해 주었다.

그는 자신의 행동이 단순한 살인이나 정치적 암살행위가 아니라 자신의 신앙과 연결된 행위, 동양평화와 겨레를 위한 이타적인 행위임을 역설했다. 자신은 의군 참모중장으로 독립전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작전지역에 들어온 적장을 공격한 군사행동을 수행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옥중에서 동양평화론을 지어서 자신의 궁극적 지향점을 밝혀주고자 했다.

안중근은 32세의 짧은 생을 살았다. 그러나 그의 삶과 행동을 통해서 우리는 그가 오늘의 우리에게 전해주고자 하는 많은 말들을 찾아볼 수 있다. 우선, 그는 늘 자신과 사회와의 관계에 대해 성찰하는 삶을 살고 있었다. 그는 자신이 살고 있던 시대를 직시하고, 자신이 행할 바를 과감히 실천해 나갔다. 그는 자신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치열하게 행동한 사람이었다. 그는 자신의 지식과 행동을 일치시키고자 했던 인물이었다.

안중근이 수행했던 일들은 이타적 가치를 지향하고 있었다. 그는 ‘국민’을 위한 봉사의 삶이 무엇인지를 확실하게 보여 주었다. 이를 위해 그는 자신의 재산을 털어서 교육운동을 전개했다. 그는 나라와 민족을 위해 자신의 수고로움을 피하지 않고 풍찬노숙의 의병투쟁에 뛰어들었다. 그는 자신의 목숨을 던져서까지라도 침략의 원흉을 제거하고자 했고, 자신의 죽음을 앞두고서도 초연할 수 있었다.

안중근은 인간에 대한 신뢰를 갖고 있었고, 인류가 지향하는 보편적 가치인 ‘평화’의 중요함을 역설했다. 그가 지향하던 궁극적 가치는 바로 평화에 있었다. 그는 이토 히로부미를 제거한 자신의 의거도 궁극적 평화를 이루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인식했다. 그는 죽음을 앞둔 옥중에서 동양평화를 이루기 위한 자신의 방략을 정리하는 데에 혼신을 기울이고 있었다. 이러한 행적과 기록을 통해서 우리는 그의 평화사상을 높게 평가하게 된다.

100년 전 그는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이 동아시아 공동체를 이룩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의 이러한 생각은 당시 일본인들이 주장하던 평화론이나 연대론과는 근본적 차이를 드러내고 있었다. 안중근은 일본을 맹주로 한 폭력에 굴종하는 거짓 평화를 거부했다. 그는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이 대등한 주권국가로서 상호의 존재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평화를 그렸다. 그의 이러한 사상은 동아시아 공동체가 지향해야 할 바를 미리 제시한 것이다. 100년 전에 죽은 안중근은 여전히 오늘의 우리들에게도 사표가 되고 있다.

안중근의 의거와 순국에서 드러나는 평화사상이나 자기 희생적 이타심, 그리고 행동하는 지성의 면모는 오늘의 우리에게도 가치가 있다. 그러기에 우리는 32세의 젊은 청년 안중근을 아직도 그리워하고 있는 것이다.


 조광 고려대 한국사학과 교수  

 서울신문 3월 13일


★ 제이엠의 돌아읽기

30대 중반으로 치닫는 나의 현 상황에서 정말 많은 것을 느끼게 하는 글이다. 

나는 지금까지 무엇을 이루었고, 무엇을 이루기 위해서 지금 노력하고 있는 것일까. 

안의사께서 추구하신 '평화'라는 대의에는 좀 부족할지라도 무엇인가를 위해 경진해야 하는 것은 아닌가. 

메신저 머릿말은 "Don't Just Survive, Thrive!"라고 거창하게 적어 놓고도, 하루하루를 단지 Survive하기 위해 지내온 날도 적지 않은 것 같다. 'Thrive'는 번영을 의미하고, 번영은 의미없는 확장이나 행운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제는 그 행운의 빈도가 줄어들거나 더이상 행운이 나에게 찾아올 수 없을지도 모른다. 

가장 행복하게, 최고의 행운 속에서 살아왔다고 자부하는 이 시점에서, 그 행운의 끝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 시점을 위해 지금 무엇을 해야하는지 곰곰히 고민해야 할 때이다.

+ Recent posts